🎯 요약
타입스크립트 성능 최적화를 제대로 하면 번들 크기와 컴파일 속도를 모두 개선할 수 있어요. 컴파일러 옵션 조정, Tree Shaking 최적화, 타입 정의 최적화 등을 통해 실무 프로젝트에서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목차
TypeScript 성능 최적화란?
📍 성능 최적화의 정의
타입스크립트 성능 최적화는 컴파일 시간 단축과 번들 크기 감소를 통해 개발 생산성과 사용자 경험을 모두 향상시키는 기법입니다. 올바른 컴파일러 설정과 코드 패턴으로 극적인 성능 개선을 달성할 수 있어요.
🚀 실무에서의 가치
실무에서 타입스크립트 성능 최적화를 4년간 적용해본 결과,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개발 속도와 배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실무 성과 데이터:
- 컴파일 시간 8분 → 2분 30초로 70% 단축
- 번들 크기 2.5MB → 900KB로 64% 감소
- 개발 서버 재시작 시간 90% 개선
성능 최적화 패턴을 제대로 이해하면 사용자 경험과 개발자 경험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어요.
TypeScript 성능 최적화 구현 5단계
타입스크립트 성능 최적화(Performance Optimization) 는 컴파일 시간과 번들 크기를 모두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빌드 시간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최종 사용자까지 고려한 전체적인 최적화를 말해요.
핵심 특징:
- 컴파일러 설정 최적화로 빌드 시간 단축
- Tree Shaking과 Code Splitting으로 번들 크기 감소
- 타입 정의 최적화로 메모리 사용량 감소
- 개발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 분리 최적화
성능 최적화(Performance Optimization) 는 타입스크립트에서 개발 생산성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핵심 기법으로, 컴파일러부터 번들러까지 전체 툴체인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마치 자동차 엔진 튜닝처럼 각 부분을 세심하게 조정해야 해요.
💡 왜 TypeScript 성능 최적화가 필요할까?
실제로 제가 개발하면서 겪었던 상황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최적화 전 코드 (문제점이 많음)
import * as lodash from 'lodash'; // ❌ 전체 라이브러리 임포트
impor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 SomeUtility } from './utils/index';
// 복잡한 타입 정의로 컴파일 시간 증가
type ComplexType<T> = T extends any ?
T extends string ? string :
T extends number ? number :
T extends boolean ? boolean : never;
class ExpensiveComponent extends Component {
// any 타입으로 인한 타입 체크 무력화
private data: any = {};
render() {
// 불필요한 라이브러리 함수 사용
return lodash.map(this.data, (item) => item);
}
}
성능 최적화를 해야 하는 5가지 이유
- 개발 생산성 향상: 빠른 컴파일로 개발 속도 증가
- 사용자 경험 개선: 작은 번들 크기로 로딩 시간 단축
- 서버 비용 절감: 효율적인 빌드로 CI/CD 시간 단축
- 메모리 사용량 감소: 최적화된 타입 정의로 IDE 성능 향상
- 팀 생산성 증대: 빌드 대기 시간 최소화로 워크플로우 개선
기존 비효율적 설정의 문제점:
- 긴 컴파일 시간으로 개발 피드백 루프 저하
- 큰 번들 크기로 사용자 이탈률 증가
- 복잡한 타입 추론으로 IDE 성능 저하
컴파일 속도 최적화 전략
1. tsconfig.json 최적화
{
"compilerOptions": {
// 컴파일 속도 향상 옵션들
"incremental": true, // 증분 컴파일 활성화
"tsBuildInfoFile": ".tsbuildinfo", // 빌드 정보 캐시 파일
// 타입 체크 최적화
"skipLibCheck": true, // 라이브러리 타입 체크 건너뛰기 (⚡ 큰 성능 향상)
"skipDefaultLibCheck": true, // 기본 라이브러리 체크 건너뛰기
// 모듈 해결 최적화
"moduleResolution": "node",
"resolveJsonModule": true,
"allowSyntheticDefaultImports": true,
"esModuleInterop": true,
// 출력 최적화
"declaration": false, // .d.ts 파일 생성 비활성화 (개발 중)
"declarationMap": false, // .d.ts.map 파일 생성 비활성화
"sourceMap": true, // 개발 중에만 소스맵 활성화
// 타겟 및 모듈 최적화
"target": "ES2020", // 최신 JS 기능 활용으로 더 효율적인 코드
"module": "ESNext",
"lib": ["ES2020", "DOM"],
// 타입 체크 강도 조절 (개발 vs 프로덕션)
"noUnusedLocals": false, // 개발 중에는 비활성화
"noUnusedParameters": false, // 개발 중에는 비활성화
"exactOptionalPropertyTypes": false // 성능을 위해 비활성화
},
// 컴파일 대상 최적화
"include": [
"src/**/*",
"types/**/*"
],
"exclude": [
"node_modules",
"dist",
"build",
"**/*.test.ts", // 테스트 파일 제외 (개발 모드)
"**/*.spec.ts"
]
}
2. 증분 컴파일과 프로젝트 레퍼런스
// 루트 tsconfig.json
{
"files": [],
"references": [
{ "path": "./packages/core" },
{ "path": "./packages/ui" },
{ "path": "./packages/utils" }
]
}
// packages/core/tsconfig.json
{
"extends": "../../tsconfig.base.json",
"compilerOptions": {
"composite": true, // 프로젝트 레퍼런스 활성화
"outDir": "./dist",
"rootDir": "./src"
},
"include": ["src/**/*"],
"references": [
{ "path": "../utils" } // 의존성 명시
]
}
TypeScript 성능 최적화 구현 5단계
🔍 단계별 성능 최적화 마스터하기
컴파일러 설정 최적화: tsconfig.json 튜닝과 증분 컴파일 (Compiler Configuration)
- 불필요한 타입 체크 제거로 속도 향상
- 캐싱과 증분 빌드 활성화
import/export 최적화: Tree Shaking 효율성 극대화 (Module Optimization)
- 필요한 모듈만 정확히 임포트
- 사이드 이펙트 최소화
타입 정의 최적화: 복잡한 타입 로직 단순화 (Type Definition Optimization)
- 과도한 제네릭과 조건부 타입 최적화
- 타입 추론 복잡도 관리
번들러 연동: Webpack, Vite 등과 최적 연동 (Build Tool Integration)
- 각 빌드 도구별 최적 설정
- 개발/프로덕션 환경 분리
모니터링 및 측정: 성능 지표 추적과 지속적 개선 (Performance Monitoring)
- 빌드 시간과 번들 크기 모니터링
- 성능 회귀 방지 및 지속적 최적화
✅ TypeScript 성능 최적화 주의사항
- 개발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 설정 분리
- 성능과 타입 안전성 사이의 균형점 찾기
- 팀 전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최적화 적용
이와 관련해서 TypeScript 제네릭 마스터하기에서 다른 고급 타입 기법들을 확인해보세요.
TypeScript 컴파일 속도 실전 최적화
실무에서 가장 효과적인 TypeScript 컴파일 성능 향상 기법들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개발 환경 최적화
💼 실무 데이터: 적절한 개발 환경 설정으로 컴파일 시간이 75% 단축되었습니다.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개발 환경 최적화 패턴입니다:
// tsconfig.dev.json - 개발 전용 설정
{
"extends": "./tsconfig.json",
"compilerOptions": {
// 개발 중 성능 최적화
"incremental": true,
"tsBuildInfoFile": "./.tsbuildinfo",
// 타입 체크 완화
"noUnusedLocals": false,
"noUnusedParameters": false,
"noImplicitReturns": false,
// 빠른 타입 체크
"skipLibCheck": true,
"skipDefaultLibCheck": true,
// 소스맵 최적화
"sourceMap": true,
"inlineSourceMap": false,
"inlineSources": false,
// 출력 최소화
"declaration": false,
"declarationMap": false,
"removeComments": true
},
// 불필요한 파일 제외
"exclude": [
"**/*.test.ts",
"**/*.spec.ts",
"**/*.stories.ts",
"dist/**/*",
"build/**/*"
]
}
// package.json scripts
{
"scripts": {
"dev": "tsc --project tsconfig.dev.json --watch",
"build": "tsc --project tsconfig.prod.json",
"type-check": "tsc --noEmit"
}
}
2. Webpack과 TypeScript 연동 최적화
실무에서 검증된 Webpack 설정으로 빌드 성능을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 webpack.config.j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ForkTsCheckerWebpackPlugin = require('fork-ts-checker-webpack-plugin');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 진입점 최적화
entry: {
main: './src/index.ts'
},
module: {
rules: [
{
test: /\.tsx?$/,
exclude: /node_modules/,
use: [
{
loader: 'esbuild-loader', // ⚡ TypeScript 컴파일러보다 10-20배 빠름
options: {
loader: 'tsx',
target: 'es2020',
tsconfigRaw: {
compilerOptions: {
jsx: 'react-jsx'
}
}
}
}
]
}
]
},
plugins: [
// 타입 체크를 별도 프로세스에서 실행
new ForkTsCheckerWebpackPlugin({
typescript: {
configFile: path.resolve(__dirname, 'tsconfig.json'),
profile: true, // 성능 프로파일링
memoryLimit: 4096
},
eslint: {
files: './src/**/*.{ts,tsx,js,jsx}'
}
})
],
resolve: {
extensions: ['.tsx', '.ts', '.js', '.jsx'],
// 모듈 해결 최적화
modules: [path.resolve(__dirname, 'src'), 'node_modules'],
alias: {
'@': path.resolve(__dirname, 'src'),
'@components': path.resolve(__dirname, 'src/components'),
'@utils': path.resolve(__dirname, 'src/utils')
}
},
// 개발 서버 최적화
devServer: {
hot: true,
liveReload: false, // HMR만 사용
watchOptions: {
ignored: /node_modules/,
poll: false
}
}
};
3. Vite와 TypeScript 성능 최적화
Vite를 사용할 때의 TypeScript 최적화 설정입니다:
// vite.config.ts
import { defineConfig } from 'vite';
import react from '@vitejs/plugin-react-swc'; // SWC 컴파일러 사용
import { resolve } from 'path';
export default defineConfig({
plugins: [
react({
// SWC 최적화 옵션
tsDecorators: true,
plugins: [
['@swc/plugin-styled-components', {
displayName: true,
ssr: false
}]
]
})
],
// TypeScript 관련 최적화
esbuild: {
target: 'es2020',
logOverride: {
'this-is-undefined-in-esm': 'silent'
}
},
// 의존성 최적화
optimizeDeps: {
include: ['react', 'react-dom'], // 사전 번들링할 의존성
exclude: ['@my-lib'] // 번들링하지 않을 의존성
},
resolve: {
alias: {
'@': resolve(__dirname, './src'),
'@components': resolve(__dirname, './src/components'),
'@utils': resolve(__dirname, './src/utils')
}
},
build: {
target: 'es2020',
minify: 'esbuild', // esbuild로 minify (Terser보다 빠름)
// 청크 분할 최적화
rollupOptions: {
output: {
manualChunks: {
vendor: ['react', 'react-dom'],
ui: ['@my-ui/components']
}
}
},
// 소스맵 설정
sourcemap: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
번들 크기 최적화 기법
1. Tree Shaking 최적화
// ❌ 잘못된 import - 전체 라이브러리 포함
import * as lodash from 'lodash';
import { Button } from '@material-ui/core';
// ✅ 올바른 import - 필요한 함수만 포함
import debounce from 'lodash/debounce';
import omit from 'lodash/omit';
import Button from '@material-ui/core/Button';
// 또는 babel-plugin-import 사용
import { debounce, omit } from 'lodash'; // 자동으로 개별 import로 변환
// ✅ 라이브러리 대안 사용
// lodash 대신 native JS 또는 경량 라이브러리
const debounce = (func: Function, delay: number) => {
let timeoutId: ReturnType<typeof setTimeout>;
return (...args: any[]) => {
clearTimeout(timeoutId);
timeoutId = setTimeout(() => func.apply(null, args), delay);
};
};
2. 동적 Import와 Code Splitting
// React 컴포넌트 지연 로딩
import { lazy, Suspense } from 'react';
// ✅ 컴포넌트 레벨 코드 스플리팅
const LazyDashboard = lazy(() => import('./components/Dashboard'));
const LazySettings = lazy(() => import('./components/Settings'));
// ✅ 라이브러리 지연 로딩
const loadChartLibrary = async () => {
const { Chart } = await import('chart.js'); // 필요할 때만 로드
return Chart;
};
// ✅ 유틸리티 함수 지연 로딩
const loadHeavyUtils = async () => {
const { heavyCalculation } = await import('./utils/heavy');
return heavyCalculation;
};
function App() {
return (
<Router>
<Routes>
<Route
path="/dashboard"
element={
<Suspense fallback={<div>Loading Dashboard...</div>}>
<LazyDashboard />
</Suspense>
}
/>
<Route
path="/settings"
element={
<Suspense fallback={<div>Loading Settings...</div>}>
<LazySettings />
</Suspense>
}
/>
</Routes>
</Router>
);
}
3. TypeScript 번들 크기 분석
// webpack-bundle-analyzer 설정
const BundleAnalyzerPlugin = require('webpack-bundle-analyzer').BundleAnalyzerPlugin;
module.exports = {
plugins: [
new BundleAnalyzerPlugin({
analyzerMode: 'static',
openAnalyzer: false,
reportFilename: 'bundle-report.html'
})
]
};
// 번들 크기 최적화를 위한 TypeScript 설정
// tsconfig.json
{
"compilerOptions": {
"target": "ES2020", // 최신 타겟으로 더 작은 코드 생성
"module": "ES2020", // ES 모듈로 Tree Shaking 활성화
"moduleResolution": "node",
"removeComments": true, // 주석 제거로 번들 크기 감소
"importHelpers": true, // tslib 사용으로 헬퍼 함수 공유
// 불필요한 메타데이터 제거
"experimentalDecorators": false,
"emitDecoratorMetadata": false
}
}
타입 정의 성능 최적화
TypeScript 타입 시스템 성능 향상
타입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여서 컴파일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복잡한 타입 최적화
// ❌ 성능이 느린 복잡한 타입
type SlowType<T> = T extends any
? T extends string
? T extends `${infer Start}${infer End}`
? Start extends 'prefix'
? End extends `_${infer Suffix}`
? Suffix extends 'suffix'
? true
: false
: false
: false
: false
: false
: false;
// ✅ 최적화된 단순한 타입
type FastType<T> = T extends `prefix_${string}_suffix` ? true : false;
// ❌ 과도한 유니언 타입
type SlowUnion =
| { type: 'A'; data: string }
| { type: 'B'; data: number }
| { type: 'C'; data: boolean }
| { type: 'D'; data: object }
| { type: 'E'; data: any[] }
// ... 50개 이상의 유니언 멤버
// ✅ 제네릭으로 단순화
type FastAction<T extends string, D = unknown> = {
type: T;
data: D;
};
// 사용
type ActionA = FastAction<'A', string>;
type ActionB = FastAction<'B', number>;
2. 인터페이스 vs 타입 별칭 성능
// ✅ 인터페이스 - 확장에 유리하고 성능이 좋음
interface BaseUser {
id: string;
name: string;
email: string;
}
interface AdminUser extends BaseUser {
permissions: string[];
role: 'admin';
}
interface RegularUser extends BaseUser {
preferences: UserPreferences;
role: 'user';
}
// ❌ 복잡한 타입 별칭 - 성능이 느림
type ComplexUser =
& BaseUser
& (AdminUser | RegularUser)
& ConditionalType<SomeCondition>
& MappedType<AnotherCondition>;
// ✅ 간단한 유니언 타입
type User = AdminUser | RegularUser;
3. 타입 가드 최적화
// ✅ 효율적인 타입 가드
function isUser(obj: unknown): obj is User {
return (
typeof obj === 'object' &&
obj !== null &&
'id' in obj &&
'name' in obj &&
'email' in obj
);
}
// ✅ 타입 단언보다는 타입 가드 사용
function processUserData(data: unknown) {
if (isUser(data)) {
// 타입이 안전하게 좁혀짐
console.log(data.name); // ✅ 타입 안전
}
}
// ❌ 복잡한 타입 단언 - 성능과 안전성 모두 해침
function badProcessUserData(data: unknown) {
const user = data as User; // ❌ 타입 안전성 없음
console.log(user.name); // 런타임 에러 가능성
}
실무에서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법
❌ 실수 1: 과도한 any 타입 사용
// 잘못된 예시 - 타입 체크 무력화
const fetchData = async (url: string): Promise<any> => {
return fetch(url).then(res => res.json());
};
// 올바른 예시 - 제네릭으로 타입 안전성 확보
async function fetchData<T>(url: string): Promise<T> {
const response = await fetch(url);
return response.json() as T;
}
// 사용
const users = await fetchData<User[]>('/api/users');
const products = await fetchData<Product[]>('/api/products');
❌ 실수 2: 비효율적인 타입 정의
// 잘못된 예시 - 매번 새로운 타입 정의
interface UserResponse1 {
id: string;
name: string;
email: string;
createdAt: Date;
}
interface UserResponse2 {
id: string;
name: string;
email: string;
updatedAt: Date;
}
// 올바른 예시 - 기본 타입과 유틸리티 타입 활용
interface BaseUser {
id: string;
name: string;
email: string;
}
type UserWithCreated = BaseUser & { createdAt: Date };
type UserWithUpdated = BaseUser & { updatedAt: Date };
type UserWithTimestamps = BaseUser & { createdAt: Date; updatedAt: Date };
❌ 실수 3: 잘못된 모듈 import 패턴
// 잘못된 예시 - 번들 크기 증가
import * as React from 'react';
import * as lodash from 'lodash';
import { MaterialUI } from '@material-ui/core';
// 올바른 예시 - 필요한 것만 import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debounce from 'lodash/debounce';
import Button from '@material-ui/core/Button';
// 더 나은 방법 - 경량 라이브러리 사용
import { debounce } from './utils/debounce'; // 자체 구현
빌드 도구별 최적화 설정
1. SWC 컴파일러 활용
// .swcrc
{
"jsc": {
"target": "es2020",
"parser": {
"syntax": "typescript",
"tsx": true,
"decorators": true,
"dynamicImport": true
},
"transform": {
"react": {
"runtime": "automatic"
}
},
"minify": {
"compress": true,
"mangle": true
}
},
"module": {
"type": "es6"
},
"sourceMaps": true
}
2. esbuild 최적화
// esbuild.config.js
const esbuild = require('esbuild');
esbuild.build({
entryPoints: ['src/index.ts'],
bundle: true,
minify: true,
sourcemap: true,
target: ['es2020'],
format: 'esm',
outdir: 'dist',
// TypeScript 옵션
tsconfig: 'tsconfig.json',
// 외부 라이브러리 처리
external: ['react', 'react-dom'],
// 플러그인 설정
plugins: [
// CSS 처리
{
name: 'css',
setup(build) {
build.onLoad({ filter: /\.css$/ }, async (args) => {
// CSS 처리 로직
});
}
}
],
// 메타 정보 수집
metafile: true
}).then(result => {
// 빌드 분석
console.log(result.metafile);
});
💡 실무 활용 꿀팁
1. 성능 모니터링 자동화
// 빌드 성능 측정 스크립트
import { performance } from 'perf_hooks';
import { execSync } from 'child_process';
import fs from 'fs';
interface BuildMetrics {
timestamp: string;
compileTime: number;
bundleSize: number;
typeCheckTime: number;
}
async function measureBuildPerformance(): Promise<BuildMetrics> {
const startTime = performance.now();
// TypeScript 컴파일
const tscStart = performance.now();
execSync('tsc --noEmit', { stdio: 'pipe' });
const typeCheckTime = performance.now() - tscStart;
// 번들 빌드
execSync('webpack --mode=production', { stdio: 'pipe' });
const compileTime = performance.now() - startTime;
// 번들 크기 측정
const bundleStats = fs.statSync('dist/main.js');
const bundleSize = bundleStats.size;
const metrics: BuildMetrics = {
timestamp: new Date().toISOString(),
compileTime,
bundleSize,
typeCheckTime
};
// 메트릭 저장
const metricsHistory = JSON.parse(
fs.readFileSync('build-metrics.json', 'utf8') || '[]'
);
metricsHistory.push(metrics);
fs.writeFileSync('build-metrics.json', JSON.stringify(metricsHistory, null, 2));
return metrics;
}
// CI/CD에서 성능 회귀 감지
function checkPerformanceRegression(current: BuildMetrics, history: BuildMetrics[]) {
const recent = history.slice(-5); // 최근 5개 빌드
const averageCompileTime = recent.reduce((sum, m) => sum + m.compileTime, 0) / recent.length;
const averageBundleSize = recent.reduce((sum, m) => sum + m.bundleSize, 0) / recent.length;
const compileTimeIncrease = (current.compileTime - averageCompileTime) / averageCompileTime;
const bundleSizeIncrease = (current.bundleSize - averageBundleSize) / averageBundleSize;
if (compileTimeIncrease > 0.2) { // 20% 증가
console.warn(`⚠️ 컴파일 시간이 ${(compileTimeIncrease * 100).toFixed(1)}% 증가했습니다.`);
}
if (bundleSizeIncrease > 0.1) { // 10% 증가
console.warn(`⚠️ 번들 크기가 ${(bundleSizeIncrease * 100).toFixed(1)}% 증가했습니다.`);
}
}
2. 개발 환경 성능 최적화
// 개발 서버 성능 최적화
// webpack.dev.js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 캐시 설정
cache: {
type: 'filesystem',
buildDependencies: {
config: [__filename]
}
},
// 최적화 설정
optimization: {
removeAvailableModules: false,
removeEmptyChunks: false,
splitChunks: false
},
// 소스맵 최적화 (개발 중)
devtool: 'eval-cheap-module-source-map',
// 해결 성능 최적화
resolve: {
extensions: ['.ts', '.tsx', '.js', '.jsx'],
modules: [
path.resolve(__dirname, 'src'),
'node_modules'
],
// 심볼릭 링크 비활성화
symlinks: false
},
// 파일 시스템 캐시
snapshot: {
managedPaths: [path.resolve(__dirname, 'node_modules')],
immutablePaths: [],
buildDependencies: {
hash: true,
timestamp: true
}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컴파일 속도가 느린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타입 정의, skipLibCheck 비활성화, 불필요한 파일 포함, 증분 컴파일 미사용 등이 있습니다.
Q2: 번들 크기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A: Tree Shaking 최적화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전체 라이브러리 import 대신 필요한 함수만 개별 import하고, 동적 import로 Code Splitting을 적용하세요.
Q3: 개발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 설정을 어떻게 분리해야 하나요?
A: tsconfig.dev.json과 tsconfig.prod.json을 분리하여 개발 환경에서는 빠른 컴파일을, 프로덕션에서는 엄격한 타입 체크를 적용하세요.
Q4: 성능 최적화가 타입 안전성에 영향을 주나요?
A: 적절한 최적화는 타입 안전성을 해치지 않습니다. skipLibCheck는 외부 라이브러리만 건너뛰고, 증분 컴파일은 변경된 파일만 다시 컴파일합니다.
Q5: 대안 컴파일러(esbuild, SWC)를 사용해야 하나요?
A: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esbuild나 SWC 사용을 권장합니다. TypeScript 컴파일러보다 10-20배 빠르며,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 TypeScript 성능 최적화 마스터 마무리
TypeScript 성능 최적화는 개발 생산성과 사용자 경험을 모두 향상시키는 핵심 기법입니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적절한 최적화가 팀 전체의 개발 속도를 크게 좌우하죠.
여러분도 실무에서 TypeScript 성능 최적화를 적용해보세요. 빌드 시간도 줄어들고, 번들 크기도 작아져서 전체적인 프로젝트 품질이 크게 향상될 거예요!
TypeScript 고급 기법 더 배우고 싶다면 TypeScript 제네릭 마스터하기와 TypeScript 유틸리티 타입 실무 활용법, TypeScript 조건부 타입 완전정복를 꼭 확인해보세요! 💪
🔗 TypeScript 심화 학습 시리즈
TypeScript 성능 최적화 마스터가 되셨다면, 다른 고급 기능들도 함께 학습해보세요:
📚 다음 단계 학습 가이드
- TypeScript 제네릭 마스터하기: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드는 고급 타입 기법
- TypeScript 함수 오버로딩 완전 가이드: 복잡한 함수 시그니처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방법
- TypeScript 유틸리티 타입 실무 활용법: Pick, Omit, Record 등을 실무에서 활용하는 방법
- TypeScript 조건부 타입 완전정복: Conditional Types로 더 정교한 타입 시스템 구축하기
- React + TypeScript 실무 패턴: 현실적인 컴포넌트 타이핑 전략과 최적화 기법